결혼검진의 5가지 포인트

1. 측정회기와 피드백회기, 단 2회 방문으로 구성된 초단기 컨설팅 프로그램
결혼검진은 각각 100분이 소요되는 측정회기와 피드백회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부부들은 단 2회의 가족센터 방문으로 결혼검진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

2. 가족센터 ‘가족 관계건강 관리체계’(박우철, 2019)의 핵심 허브 프로그램
결혼검진은 측정평가, 스크리닝, 타 프로그램 연계, 컨설팅·상담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, 가족센터의 고도화된 운영체계인 ‘가족 관계건강 관리체계’(박우철, 2019)의 핵심 역할을 담당합니다.



3. 임상면접, 바이오피드백, 부부상호작용관찰, 설문지의 다 측정 방법
결혼검진은 부부면접, 상호작용관찰, 생리학적 데이터 측정, 심리검사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풍부한 관점으로 부부관계를 점검합니다.



4. 가족센터에서 효과성이 검증된 근거기반프로그램
결혼검진은 2017년 1차 연구와 2019년 2차 연구를 통해 가족센터에서 그 효과가 입증된 근거기반(evidence-based) 프로그램으로 그 효과를 신뢰할 수 있습니다.

-    결혼검진을 통해 부부들은 다음 지표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험합니다.   -
부부관계 이해, 부부관계 향상방법 이해, 부부관계향상 자기효능감, 부부관계향상 동기, 친밀감, 결혼만족도, 부부적응



5. 결혼컨설턴트에 대한 체계적 교육 훈련 제공
전국 가족센터의 상담자들은 매년 초 제공되는 워크샵을 통해 결혼컨설턴트의 자격을 획득할 수 있고, 연중 집단 슈퍼비전을 통해 훈련 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.
​​​


가족센터 '가족 관계건강 관리체계'

박우철 교수가 2019년 제안한 가족센터의 고도화된 운영체계 모델로서, 이 체계 안에서 가족들은 가족검진(결혼검진, 양육자자녀관계검진)을 통해 위기가족, 위험군가족, 건강가족으로 선별된 후 가족센터의 맞춤형 가족서비스를 제공 받아 점차 건강하고 적응적인 가족으로 성장하게 됩니다. 이 체계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다른 공공기관들과 차별화되는 가족센터만의 정체성을 확립해 갈 수 있습니다.